가이드
도법(Projection)

지도 도법(Projection)

지정한 도법을 사용하여 지도를 표현할 수 있다.
사용 가능한 도법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지도 도법 설명

정방형도법 (Equirectangular Projection)

Equirectangular

가장 간단한 형태의 지도로, 정방향도법은 세계 지도를 네모 모양으로 보여주는 방법이다. 위도와 경도가 지도에서 직선으로 똑같은 간격으로 그려져 있어, 마치 모눈종이 위에 세계를 펼쳐놓은 것처럼 보인다. 이 지도에서는 극지방으로 갈수록 실제보다 땅이 옆으로 길게 늘어나 보이고, 크기가 왜곡되어 보인다.

body.projection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, 해당 도법이 적용된다.

메르카토르 도법 (Mercator Projection)

Mercator

{
    body: {
        projection: 'mercator'
    }
}

항해를 위해 만들어진 지도로, 지도 위 두 점을 직선으로 이으면 실제 항해 경로와 같아서 편리하다. 하지만 극지방으로 갈수록 실제보다 땅이 훨씬 크고 길게 왜곡되어 보인다. 그래서 그린란드가 아프리카 대륙만큼 커 보이기도 한다.

밀러 도법 (Miller Projection)

Miller

{
    body: {
        projection: 'miller'
    }
}

메르카토르 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. 극지방의 왜곡을 줄여서 그린란드가 아프리카보다 작게 보인다. 하지만 여전히 극지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실제보다 부풀려져 보이는 한계가 있다.

EqualEarth 도법

EqualEarth

{
    body: {
        projection: 'equalearth'
    }
}

각 나라의 실제 크기를 최대한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도이다. 대륙의 모양이 약간 찌그러져 보일 수 있지만, 나라별 면적 비율이 실제와 거의 같다. 그래서 나라 간의 크기를 비교하기에 좋은 지도이다.

정사 도법 (Orthographic Projection)

Orthographic

{
    body: {
        projection: 'orthographic'
    }
}

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보는 것처럼 보이는 지도이다. 지구의 한쪽 면만 보여주며,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땅의 모양이 심하게 찌그러져 보인다. 주로 특정 지역을 강조하거나 지구의 둥근 모습을 보여줄 때 사용된다.

See Also